학과 교육과정
학부교육목표
우리대학교 디자인학부의 교육목표는 미래사회가 지향하는 인류의 새로운 생활문화 창출을 위한 인간, 제품, 환경의 제 문제를 다각적으로 해석하고 종합, 창조할 수 있는 폭 넓은 학제적 접근을 통해,합리적인 디자인 사고 능력과 독창적 조형 능력을 함양, 21세기 디자인 흐름의 시대 정신을 이끌어 가는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데 있습니다.
또한 제2창학 선언 이래로 우리대학의 교육 특성화 방향인 디지털 대학, 지식 경영 대학의 이념을 이어 받아 디자인학 분야의 특성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즉 다원적인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특화된 창조력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하여 열린 교육, 학생의 요구와 장래 취업을 우선하는 교육을 시행하고 보다 미래지향적이며 진취적인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21세기 국제화와 디지털, AI, 가상공간과 같은 복잡하고 다변화하는 시대를 주도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최대한으로 개발하고 국제경쟁에 앞서 나가기 위한 전문적인 문제해결 능력, 개방성과 융통성 있는 디자인 수행 능력을 가짐으로 정해진 사고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것을 탐색하는 창의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고자 합니다.

- 1. 여성 고유의 감성 계발 교육
- 2. 창의적 사고 형성을 위한 열린 교육
- 3. 산학연일체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
- 4.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수요자 우선 교육
- 5. 미래사회의 디자인을 이끌어 가는 인재 양성교육
본 학과에서의 건축디자인은 소규모의 개인주택에서부터 공동주택 , 박물관건축 , 상업건축 , 종교건축 등의 건축 및 관련과목을 다루고 있습니다 . 그리고 도시적인 맥락에서의 건축과 도시디자인 관련강의에서는 여성건축가의 새로운 능력과 역할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디지털개념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건축은 첨단적인 현대건축과 철학적인 미래건축의 새로운 모습을 디자인할 수 있습니다.
공간환경디자인에서는 주거 , 업무공간 , 병원 , 샵 , 카페 , 레스토랑 등의 소규모 상업 공간 및 호텔 , 백화점 등의 대현상업 공간 , 각 브랜드의 브랜드 스페이스 개발 , 박물관 , 뮤지엄 등의 문화 공간 및 복합 특수 공공환경의 인테리어를 다루며 , 비일상적인 공간디자인으로서는 공간연출 , 전시디자인 , 디스플레이 , 무대디자인 , 행사 , 이벤트 환경 디자인을 창의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질적으로 디자인합니다.